분류 전체보기(73)
-
국민연금 연기수령(조기수령)시 생존 나이별 실제 예상 수령액 시나리오
최후의 보루인 연금이 언제 고갈될지 모른다 하니받을수 있을때 먼저 당겨 받는 것은 어떨지?난, 건강에 자신있고 지금 웬만큼 수입도 되고 하니1년이나 2년이라도 연기하여연금액을 증액하는 건 어떨까?한번쯤 이런 고민은 해 보셨겠죠?그럼 어떤 경우가 최적의 안일까요?다음의 조기연금이나 연기연금시 예상 연금 수령액 시나리오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국민연금 수급가능 연령에1.정상적으로 수령할 경우,2.1~5년까지 연기 수령할 경우, 3.1~2년까지 조기 수령할 경우등의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나리오 전제조건은 1.만 63세부터 연금 수령 가능2.최초 연금수령액을 200만원(또는 100만원)으로 가정3.연기수령시 1년마다 7.2%씩 증액4.조기수령시 1년마다 6% 씩 감액5.매년 물가상승율 정도 증액(매..
2025.03.24 -
출생년도별 국민연금 지급 개시 연령 및 조기,연기연금 신청에 대하여
국민연금 노령연금은 출생연도에 따라 지급 개시 연령이 다릅니다. 국민연금법 개정으로 인해 출생연도가 늦을수록 연금 지급 연령이 점진적으로 늦춰지고 있습니다.1. 국민연금(노령연금) 지급 개시 연령 (출생연도별)즉, 1969년 이후 출생자는 만 65세부터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2. 조기 국민연금(노령연금) (조기 수령 조건)만 60세가 되면 국민연금을 미리 받을 수 있는 조기 노령연금 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조기 신청 시 연금액이 감액됩니다.◆ 1969년생이 조기 노령연금 신청할 경우예) 최대 5년 일찍 조기 수령시 30% 감액, ( 월 0.5%씩(년 6%감액)- 5년 조기 수령, 만 60세에 신청하면 30% 감액- 4년 조기 수령, 만 61세에 신청하면 24% 감액- 3년 조기 수령,..
2025.03.24 -
국민연금 지급 신청 대상 및 신청 방법, 지급일 안내
국민연금은 노후 생활의 중요한 재원으로,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 지급 신청 대상과 신청 절차, 신청 방법, 그리고 연금 지급일과 지급 시간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1. 국민연금 지급 신청 대상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① 노령연금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만 62세 이상이 되면 지급(출생연도별로 지급 연령 상이함)1969년생 이후 출생자는 만 65세부터 연금 수령 가능② 장애연금국민연금 가입 중 질병이나 사고로 장애가 발생한 경우장애 정도에 따라 1급~4급으로 구분하여 지급③ 유족연금국민연금 가입자가 사망한 경우,가입자의 배우자, 자녀, 부모 등 유족에게 지급2. 국민연금 신청 절차 및 방법국민연금은 자동 지급이 ..
2025.03.24 -
외국 사례를 통해 본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의 의미와 필요성 그리고 향후 과제와 방향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왜 필요한가?최근 국민연금 개혁 논의에서 자동조정장치(Automatic Adjustment Mechanism, AAM) 도입을 두고 여야 간 이견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자동조정장치는 연금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 제도로, 이미 여러 선진국에서 시행 중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동조정장치의 의미와 필요성, 외국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향후 과제를 살펴보겠습니다.1.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란?자동조정장치는 국민연금 재정 상황이 악화될 경우 정치적 논의 없이 기계적으로 보험료율 인상, 지급률 조정, 연금 수급 연령 조정 등의 조치를 실행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는 연금 개혁이 필요할 때마다 정부와 국회가 협의해야 했지만, 자동조정장치는 이를 사전에 설계해 두고 연금 재정이 일정 ..
2025.03.21 -
국민연금 개혁안 국회 통과, 여야 합의와 파기 과정, 그리고 반대 이유
지난 3월 20일, 국회는 18년 만에 국민연금 개혁안을 통과시켰다. 이번 개혁안은 국민연금의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고 미래 세대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하지만 여야 간 논의 과정에서 합의와 파기가 반복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일부 정당과 의원들의 반대로 논란 속에 통과되었다.개정안은 국회 본회의에서 재석 277명 중 찬성 194명, 반대 40명, 기권 43명으로 통과되었다.국민연금 개혁안 주요 내용1. 보험료율 인상현재 9%인 보험료율을 2026년부터 0.5%씩 인상하여 2032년까지 13%로 조정한다.2. 소득대체율 인상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을 40%에서 43%로 상향 조정하고 2026년부터 곧바로 적용한다.3. 군 복무 및 출산 크레디트 확대군 복무 기간의 국민연금 가입 인정 기간을 기존 6개월..
2025.03.21 -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재지정이 주택가격과 주택연금에 미치는 영향
토지거래허가구역은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일정 지역 내 부동산 거래를 제한하는 제도다. 이 제도의 확대·재지정은 주택 매매 수요와 가격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주택연금 수령액과 가입·해지율에도 영향을 준다. 이번 글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이 주택연금에 미친 영향을 연도별 비교와 함께 살펴본다.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강남.서초.송파.용산구 전지역)(2025.3.24일부터 9.30일까지)1.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와 주택가격 변화토지거래허가구역이 지정되면 매매가 제한되면서 거래량이 감소하고, 이는 주택가격 변동으로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효과가 나타난다.가. 주택가격 상승 억제 또는 하락투기 수요가 줄어들어 가격 상승이 둔화되거나 하락할 가능성이 있음.나. 일부 지역의 가격 상승공급이 부족한 지역..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