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 08:09ㆍ건강보험

1. 초고소득 직장인의 건강보험료 상한액
건강보험은 세금과 달리 사회보험이기에 소득이나 재산이 아무리 많아도 보험료가 무한정 올라가지 않게 하려는 취지에서 상한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상한액은 건강보험법 시행령에 따라 임금 인상 등 사회 경제적 변동 상황을 반영해 보험료가 부과되는 연도의 지지난해의 직장인 평균 보험료의 30배로 연동해서 매년 조금씩 조정합니다.
가. 보건복지부가 개정한 2025년도 초고소득 직장인의 월별 건강보험료에서 상한과 하한 기준에 따르면
- 월급여 : 1억 2,700만원 이상( 년봉 15억 2,460 만원 이상)
- 2025년 건강보험 직장 가입자의 보수월액 보험료 상한액 : 총9,008,340원(회사 및 본인의 합)
(올해 8,481,420원에서 월 526,920원 인상)
- 본인 부담 월 보험료 : 4,504,170 (2024년 대비 월 263,460, 년간 3,161,520인상)
* 월 총 보험료를 회사와 직원이 50:50으로 부담함
- 적용기간 : 2025년 1월부터 12월까지
2. 소득월액 보험료
가.정의/목적
직장가입자의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는 보수월액에 포함된 보수를 제외한 소득(보수 외 소득)이 연간 2,000만원을 초과하는 직장가입자에게 보수 외 소득을 기준으로 부과합니다.(2022.9.1.시행)
나,세부내용
- 소득정산 대상자인 경우(소득정산 여부 ‘Y’인 경우) ‘상세내역’ 조회 시 소득정산보험료 내역이 확인 가능합니다.
- 임의계속 가입자이면서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가 부과된 경우 임의계속보험료 및 보수 외 소득월액보험료 합산하여
고지됩니다.
- 보수 외 소득월액에 산정되는 소득(보수 외 소득)은 나의 건강보험료 알아보기 화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소득월액 보험료의 부과기준과 금액, 상한액
직장인의 소득 중에서 근로소득이 아닌 종합과세 소득에 별도로 부과되는 소득거래 보험료 상한액
가.소득월액 보험료의 부과기준
- 월급 이외 금융소득이나 임대소득등 다른 부수의 소득이 년 2,000만원 초과시 추가 보험료를 징수합니다.
- 년간 급여 외 소득이 3,000만원일 경우 구체적인 월 납입보험료 계산을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급여외 소득 - 2,000만원) / 12월] x 보험요율 7.09%
즉, 매월 소득월액 보험료는
[(3,000-2,000) / 12] x 0.0709 = 833,000 x 0.0709 = 59,000원이며, 년간은 708,000원임
▶장기요양보험료 = 소득월액보험료 × 12.81% (별도 부과)
나.소득월액 보험료 부과의 상한
- 소득월액 보험료 상한액 : 월4,504,170원(63,528,490 x 0,0709) * 전년의 4,240,710 대비 263,460 인상
* 장기요양보험료 0.9182% 별도 납부
- 소득월액 보험료를 월급 이외 금융소득이나 임대소득등 다른 부수의 소득기준으로 환산하면 상한액은
년 762,340,000원 (월 63,528,490원)이 된다
- 년도별 소득월액 보험료의 부과내역 변천 추이
▶2010년 첫 적용 : 월급 외에 종합과세 소득이 연간 7200만원을 초과해야만 부과 했었고
▶2018년 7월부터 소득 중심으로 건보료 부과 체계를 바꾸면서 1단계로 기준 소득을 연간 3,400만원 초과로 내렸고,
▶2022년 9월부터 연간 2000만원 초과로 더 낮춤
◆ 따라서 초고소득 직장 가입자가 보수월액 보험료 상한액( 월4,504,170원)과 소득월액 보험료 상한액(월4,504,170원)을
모두 부담한다면 총9,008,340원(최고액으로 납부할 상한액) 이 된다
'건강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의 과잉진료와 환자의 의료쇼핑으로 발생하는 건강보험의 재정적자와 보험회사의 손실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 (0) | 2025.03.27 |
---|---|
건강보험 급여 청구가 많았던 의사의 과잉진료 사례 (0) | 2025.03.27 |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인정 기준 및 탈락 사유 (0) | 2025.02.25 |
국가건강검진 10년 검사기록을 통해 나의 건강나이 확인하기 (0) | 2025.02.13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재산등급별 점수 및 지역건강보험료 계산 예시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