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33)
-
국민연금, 전액 연기연금보다는 부분 연기연금이 생활비와 수익률, 두마리 토끼를 잡을수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1. 제도 개요2. 전액 연기연금의 장단점전액 연기연금이란 연금 개시 이후에도 생횔하기에 충분한 소득이 있거나 건강에 자신이 있어 연금의 전부를 1~5년까지 연기하여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전략입니다.장점ㅡ연기한 기간만큼 연금액 증가 (수익률 우수)ㅡ건강 상태 양호하고 다른 소득원이 있다면 총수령액 극대화 가능ㅡ일정 기간 과세소득 없이 생활 가능 (세금 이연 효과)단점ㅡ연기 기간 동안 연금 수령 불가 (생활비 공백 발생)ㅡ기대수명보다 수명이 짧을 경우 불리할 수 있음ㅡ정서적 불안감 (연금 못 받는 ‘허전함’)3. 부분 연기연금의 장단점부분 연기연금이란 섕활비가 충분하지 못해 연금의 일부(예, 50%)는 수령을 개시하여 당장의 생활비로 사용하고, 나머지 50%는 1년부터 5년까지 연기하여 수익률을 높힐 수 있..
2025.04.10 -
국민연금법 모수 개정안(연금보험료.소득대체율등) 통과, 그 내용과 의미
1. 국민연금법 개정안 통과의 배경2024년 말 국회를 통과한 국민연금법 개정안은 빠르게 진행 중인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한 연금 재정 악화를 우려한 사회적 공감대 속에서 마련되었습니다. 정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국민의 노후소득 보장 강화와 연금의 지속 가능성 확보를 동시에 추구하고자 했습니다.2. 개정안의 핵심 내용가. 연금보험료율 인상현행 9% → 13%까지 단계적 인상2026년부터 2033년까지 매년 0.5%p씩 인상하여최종 13%로 인상합니다나 소득대체율 인상2026년부터 즉시 43%로 인상합니다당초 40% 수준이었던 명목 소득대체율을 3%p 올림단, 실질소득대체율은 이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다. 연금급여 지급 보장 명문화국가의 지급 보장 의무를 법적으로 명확히 하여 국민 신뢰를 제고합니다. 라..
2025.04.05 -
국민연금, 배우자 둘이 합쳐서 月 500만원 넘는 '부부' 처음 나왔다
남편과 아내 각자의 국민연금 수급액을 합쳐서 월 500만원 이상을 받는 부부 수급자가 처음으로 나왔다.3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2024년 11월 말 기준으로 부부합산 최고 국민연금 수령액은 월 530만5600원으로 조사됐다. 이 부부의 국민연금 월 수령액은 남편 253만9260원, 아내 276만6340원이었다.부부 월 연금액 500만원은 직장인 부부의 월급 합계액 800만원의 60%를 조금 넘는 것으로, 국제노동기구(ILO)가 권고하는 수준이다.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노후 적정 생활비 수준을 훌쩍 뛰어넘는 것이기도 하다국민연금공단 산하 국민연금연구원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제10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를 보면, 건강하다고 전제했을 때 부부 기준으로 노후에 필요한 적정 생활비는 월 2..
2025.04.04 -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수급자의 비결은?
최근 국민연금 수급자 중 월 300만 원 이상을 받는 사례가 등장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국민연금 수급액이 월평균 60~70만 원대인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300만 원이라는 높은 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요? 오늘은 그 비결을 알아보겠습니다.1. 오랜 가입 기간이 핵심국민연금은 가입 기간이 길수록 연금액이 늘어납니다. 월 300만 원을 수령하는 분들은 대체로 30년 이상 국민연금에 가입한 경우가 많습니다.국민연금의 기본 구조는 가입 기간과 납입한 보험료에 따라 수령액이 결정됩니다. 최소 가입 기간(10년)을 채운 경우에도 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 20년, 30년 이상 꾸준히 납입하면 연금 수령액이 크게 증가합니다.2. 소득이 높을수록 유리국민연금은 소득에 따라 보험료를 납부하는 ..
2025.03.30 -
사실혼 배우자의 국민연금 유족연금 수급 요건과 절차
1. 유족연금이란?유족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수급자가 사망했을 때, 남겨진 가족이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는 연금입니다. 보통 법률혼 관계의 배우자가 주요 수급 대상이지만,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사실혼 배우자도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2. 사실혼 배우자의 유족연금 수급 요건사실혼 배우자가 유족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1) 국민연금 가입자의 사망 요건사망한 사람이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해야 합니다.국민연금 가입 중 사망한 경우연금을 받던 중 사망한 경우연금보험료를 10년 이상 납부한 상태에서 사망한 경우(2) 사실혼 관계 증명사실혼 배우자는 법률혼 배우자와 달리 관계를 입증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아래의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주민등록등본 (동거 여부 ..
2025.03.29 -
사실혼 배우자는 국민연금 유족연금을 받을 수 없는 이유
사실혼 관계란 법적으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았지만 실질적으로 부부 생활을 하는 관계를 말합니다. 하지만 국민연금에서는 이러한 사실혼 배우자에게 유족연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1. 국민연금 유족연금의 지급 요건국민연금 유족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사망했을 때 남겨진 유족에게 지급되는 연금입니다.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는 국민연금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배우자의 경우, 혼인신고가 되어 있는 법률상 배우자만 해당됩니다.2. 법률혼만 인정하는 이유국민연금법은 법적인 안정성을 중요하게 여깁니다.가. 법적 증빙의 어려움사실혼 관계는 개인 간의 사적인 관계이므로 이를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어렵습니다.법률혼은 혼인신고를 통해 공적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사실혼은 입증 과정이 복잡하고 분쟁이..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