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국민연금 연기수령(조기수령)시 생존 나이별 실제 예상 수령액 시나리오

딱좋아 이준훈 2025. 3. 24. 16:06
300x250
BIG

 

최후의 보루인 연금이 언제 고갈될지 모른다 하니
받을수 있을때 먼저 당겨 받는 것은 어떨지?

난, 건강에 자신있고 지금 웬만큼 수입도 되고 하니
1년이나 2년이라도 연기하여
연금액을 증액하는 건 어떨까?

한번쯤 이런 고민은 해 보셨겠죠?

그럼 어떤 경우가 최적의 안일까요?

다음의 조기연금이나 연기연금시 예상 연금 수령액 시나리오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수급가능 연령에

1.정상적으로 수령할 경우,
2.1~5년까지 연기 수령할 경우,
3.1~2년까지 조기 수령할 경우등의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나리오 전제조건은

 
1.만 63세부터 연금 수령 가능
2.최초 연금수령액을 200만원(또는 100만원)으로 가정
3.연기수령시 1년마다 7.2%씩 증액
4.조기수령시 1년마다 6% 씩 감액
5.매년 물가상승율 정도 증액(매년 2.3%씩 일괄 증액 추정)
 
 
그렇다면 국민연금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최적의 안은 무엇일까요?
 

먼저, 80세 까지 수령한다고 가정할 경우입니다.

 
만 63세가 될 때
국민연금을 정상적으로 수령 개시하여 80세까지 수령할 경우,

총 18년 동안 수령하며
총 연금액은  527,770,009원입니다.

2년 조기수령할 경우, 528,773,185이고,
1년 조기수령할 경우는 530,074,196 로
오히려 정상 수령할 경우보다 미미하게나마 많은 금액을 수령하게 됩니다.
 
또한 1년 연기 신청할 경우에는 527,899,755로
정상 수령할 경우와 대동소이합니다만,
2년,3년,4년,5년 연장 후 80세까지 수령할 경우에는
정상 수령금액보다 점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85세 까지 수령할 경우입니다.

 
2년 조기수령할 경우, 681,895,007로 정상 수령액 716,968,846보다 약3천5백만원 정도 적게 수령하고,
1년 조기 수령할 경우는 712,011,582로 장상수령금액보다 적기는 하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또한 1년 연기 신청할 경우 726,160,902이고,
2년,3년 연기 신청할 경우에는
730,671,459, 730,668,402로 정상 수령할 경우보다
적게나마 더 수령하지만,

4년,5년을 연기신청할 경우에는 726,314,430과 717,767,212 로 3년 연기를 정점으로 조금씩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5년 연기 신청할 경우에는 정상수령시보다 오히려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90세 까지 수령할 경우입니다.

 
정상 수령할 경우는 928,949,697으로
2년 조기수령 할 경우 877,117,821 보다 약 5천만원을 더 수령하며, 1년 조기수령할 경우에는 915,856,607으로  약 13백만원을 더 수령합니다.

또한 1년 연기수령시에는  948,295,283이고,  2년,3년,4년 연기 수령시에는 각각 962,395,657원과  971,438,918,  975,607,359 입니다.
5년 연기수령시에는 975,077,630으로 4년 연기수령시보다 미미하게나마 적게 수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국민연금을 최적으로 많이 수령할 수 있는 (안)은
개인의 건강상황과 수명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수령하든, 연기수령하든,조기수령하든 본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결정하면 될 것입니다.
즉, 무엇보다도 건강하게 오래사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결국, 건강이 최고의 자산입니다



■ 내용이 유익하셨다면,
구독과 하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최초 연금 수령금액이 200만원 일 경우

 
포스팅이 유익 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하트클릭)는
사랑입니다. 감사합니다.


최초 연금 수령금액이 100만원 일 경우

 

300x250
BIG